타경
검색

부동산 뉴스

제목 [12.19] 비수도권 최초의 연장형 광역철도, 안심~하양 복선전철 21일 개통국토교통부

비수도권 최초의 연장형 광역철도,
안심~하양 복선전철 21일 개통 

- 출퇴근·통학 편의 향상지역 경제와 생활의 중심축으로 도약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선인 안심하양선1221() 새벽 첫 차 (하양안심 방향 05:30, 안심하양 방향 06:07)

    를 시작으로 운행을 개시한다.

 

강희업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위원장은 홍준표 대구광역시장, 조현일 경산시장과 함께

    개통 전일(20) 하양역을 방문하여 그간의 사업경과 및 계획을 보고받고, 열차 시승하는 등 개통 기념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

 

안심~하양 복선전철은 비수도권 최초의 도시철도연장형 광역철도사업으로, 대광위의 권역별 상생발전비전을 

    실현하는 교통 혁신의 새로운 전환점이라고 할 수 있다.

 

안심~하양 복선전철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연장 구간으로, 대구광역시 안심역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역을 

    연결하는 철도사업이다. 8.89km 구간*에 걸쳐 대구한의대병원과 부호, 하양역까지 3개 역신설한다. 

* 개통 전 : 대구 1호선 연장 30.92km, 32개 역 / 안심~하양 : 연장 8.89km, 3개 역

   개통 후 : 대구 1호선 연장 39.81km, 35개 역

 

총 사업비 3,728억원(국비 70%, 지방비 30%)을 투입, ’194월 착공한 이후 5년 만에 완공하였다.

 

안심~하양 연장구간 개통으로 대구 동부와 경북 경산 지역 생활권의 교통편의크게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더 빠르게) 동대구와 하양 간 이동시간이 60에서 32으로 단축되어 출퇴근 편의 및 생활의 질이 크게 향상된다.

 

- 그동안 동대구에서 하양까지 통근은 자가용(45), 시내버(60)에 의존했으나, 철도로 32만에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더 가깝게) 대구 동부와 경북 경산지역이 철도로 연결되어, 두 지역 간 교류·협력이 활발해지는 경제·문화 공동체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 1일 예상 이용자 수는 약 1.8만명으로 출·퇴근과 통학* 편의가 크게 향상되고 지역 간 상업·문화 연계의 새로운 축이

  될 것이다. 

* 주로 대구에서 하양역(대구카톨릭대학교), 부호역(경일대학교, 호산대학교)으로 통학

 

- 철도 개통에 따른 교통편의 향상 효과가 확산되도록 대구시 기존 버스 노선을 안심역과 경유하도록 개편할 예정이다.

   (시내버스 708)

 

(더 안전하게) 철도 이용률 증가로 도로교통 혼잡을 완화*하고 안전한 교통망 구축에 기여할 것이다. 

* 국도4호선 하루교통량 약 4천대, 경부고속도로 동대구~경산 약 3천대 감소 전망

 

또한, “더 가깝게, 하나 되는 미래로라는 개통식의 비전을 뒷받침하기 위해 혼잡상황 관리 방안과 스마트 비상대응체계도

    마련했다.

 

(비상열차 대기) 하양 연장구간 개통 이후 안심차량기지에 예비차량 1편성대기시키고 혼잡한 상황에 즉각 투입한다.

      (10분 내 안심역 진입)

 

(스마트 비상대응체계) 스마트 스테이션* 구축하여 화재 발생 등 재난 및 긴급 상황에 대한 대응능력을 강화하였다. 

* 이례적인 상황 발생 시 CCTV 화면 팝업으로 재난 상황의 조기 식별과 조치 가능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강희업 위원장안심~하양 복선전철 개통은 단순한 교통 개선을 넘어 지역주민의

    삶과 경제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이며, 대구와 경북을 잇는 새로운 연결 고리가 되어 교통인프라 발전의 모범 사례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으로도, 대광위는 현재 착공을 준비중인 대구 도시철도 4호선(엑스코선)건설사업(’30년 개통 예정)을 비롯한 대구 경북 지역 

     광역교통개선을 위해 더욱 노력할 예정이다.

 

 

참고1

 

안심~하양 개통 인포그래픽

 


 

 

 

참고2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사업개요

 

사업 구간 : 대구 괴전동(1호선 안심역) ~ 경산 하양읍(하양역 1호선)

 

ㅇ 사업 내용 : 대구 1호선 연장 8.9km, 정거장 3개소

 

총사업비 : 3,728억원 (국고 258,898백만원, 지방비 112,860백만원)

 

* 지방비 분담 : 대구 362(32%), 경북·경산 769(68%)

 

사업 유형 : 도시철도 연장형(시행자 : 대구시, 운영 : 대구교통공사)

 

사업기간 : ‘14. 6 ’24. 12.

 

차량 형식 : 중전철 (61편성)

 

추진경과

 

‘13. 12. : 예비타당성조사(B/C 0.95, AHP=0.505, KDI)

 

‘15. 8. : 광역철도 지정

 

‘15. 12. : 기본계획 승인·고시(수립 기간 : ‘14. 6. ~ ’16. 1.)

 

‘16. 9. :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 착수

 

‘18. 12. : 사업계획 승인·고시

 

'19. 4. : 공사 착공

 

’20. 3. : 시스템분야 실시설계

 

‘24. 2. : 토목·건축분야(궤도, 정거장 등) 준공 완료

 

‘24. 1. ~ 5. : 공정별시험(철도종합시험운행)

 

‘24. 6. : 경산구간(H2·3) 운영협약 체결(경산시-대구교통공사)

 

‘24. 8. : 시스템분야(전기?통신?신호?기계?소방) 준공

 

’24. 7. ~ 8. : 시설물검증시험(철도종합시험운행)

 

‘24. 10. ~11. : 영업시운전(철도종합시험운행)

 

’24. 12. : 개통 (세부일정 : 12.20.() 개통식, 12.21.() 개통)

 

 

참고3

 

안심~하양선 노선도 및 조감도

 

 

노선도 

 

 

 

 

 

조감도